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처리율 제한 장치는 클라이언트 또는 서비스가 보내는 트래픽의 처리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다
HTTP로 예를 들면 이 장치는 특정 기간 내에 전송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 횟수를 제한한다.
API의 요청 횟수가 제한 장치에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면 추가로 도달한 모든 호출은 처리가 중단된다.
- 사용자는 초당 2회 이상 새글을 올릴 수 없다.
- 같은 IP 주소로는 하루에 10개이상의 계정을 생성할 수 없다.
- 같은 디바이스로는 주당 5회이상 리워드를 요청할 수 없다.
API 처리율 제한 장치의 장점
- Dos 공격에 의한 자원 고갈을 방지 할 수 있다.
- 대형 IT 기업들이 공개한 거의 대부분의 API는 어떤 형태로든 처리율 제한 장치를 갖고 있다.
- 비용을 절감 한다.
- 추가 요청에 대한 처리를 제한하면 서버를 많이 두지 않아도 된다.
- 처리율 제한은 서드파티 API에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는 회사들에게 아주 중요하다.
- 호출하는 API에 대한 과금이 횟수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 횟수를 제한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.
- 서버 과부하를 막는다.
1단계 문제 이해 및 설계 범위 확정
요구사항
- 설정된 처리율을 초과하는 요청은 정확하게 제한한다.
- 낮은 응답시간: 이 처리율 제한 장치는 HTTP 응답시간에 나쁜 영향을 주어서는 곤란하다.
- 가능한 한 적은 메모리를 써야 한다.
- 분산형 처리율 제한: 하나의 처리율 제한 장치를 여러 서버나 프로세스에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.
- 예외 처리: 요청이 제한되었을 떄는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분명하게 보여주어야 한다.
- 높은 결함 감내성: 제한 장치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.
2단계 개략적 설계안 제시 및 동의 구하기
처리율 제한 장치는 어디에 둘것인가 ?
- 클라이언트에 두기
-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는 안정적으로 걸수있는 장소가 못된다.
- 클라이언트 요청은 위변조가 쉽게 가능하기 때문이다.
- 모든 클라이언트의 구현을 통제하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.
- 서버에 두기
- API 서버에 두는 방법
- API 서버에 안두고 처리율 제한 미들웨어를 만들어 해당 미들웨어로 하여금 API 서버로 가는 요청을 통제하는 것이다
- 클라우드 마이크로 서비스의 경우 처리율 제한 장치는 보통 API 게이트웨이라 불리는 컴포넌트에 구현된다.
- API 게이트웨이는 처리율 제한, SSL 종단, 사용자 인증, IP 허용 목록 관리 등을 지원하는 완전 위탁관리형 서비스 즉 클라우드 업체가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서비스다.
- 일단은 API 게이트 웨이가 처리율 제한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라는 점만 기억하도록 하자.
- 처리율 제한 장치를 어디에 둔다는 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. 하지만 일반적인 지침은 있다.
- 프로그래밍 언어, 캐시 서비스 등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술 스택을 점검하고 현재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서버측 구현을 지원하기 충분할 정도로 효율이 높은지 확인하라.
- 여러분의 사업 필요에 맞는 처리율 제한 알고리즘을 찾아라. 서버측에서 구현하기로 했다면 알고리즘 선택은 자유롭지만 서드파티의 게이트웨이를 사용한다면 폭은 제한된다.
- 설계가 마이크로서비스에 기반하고 있고 사용자 인증이나 IP 허용목록 관리등을 처리하기 위해 API 게이트웨이를 이미 설계에 포함시켰다면 처리율 제한 기능 또한 게이트웨이에 포함시켜야 할 수도 있다.
- 처리율 제한 서비스를 직접 만드는 데는 시간이 든다. 처리율 제한 장치를 구현하기에 인력이 없다면 상용 API 게이트웨이를 쓰는것이 바람직한 방법일 것이다.
처리율 제한 알고리즘
- 토큰 버킷 알고리즘
-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아마존과 스트라이프가 API 요청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.
- 통상적으로 API 엔드포인트 마다 별도의 버킷을 둔다.
- 예를 들어 사용자마다 하루에 한번만 포스팅할수 있고 친구는 150명까지 추가할수 있고 좋아요 버튼은 다섯번 까지만 누를수 있다면 사용자마다 3개의 버킷을 두어야 할것이다.
- IP주소별로 처리율 제한을 적용하면 IP 주소마다 버킷을 하나씩 할당
- 시스템의 처리율을 초당 만개요청으로 제한하고 싶다면 모든 요청이 하나의 버킷을 공유하도록 해야 할것
- 장점
- 구현이 쉽다
- 메모리 사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.
-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트래픽도 처리 가능하다 버킷에 남은 토큰이 있기만 하면 요청은 시스템에 전달될 것이다.
- 단점
- 이 알고리즘은 버킷 크기와 토큰 공급률이라는 두개의 인자를 갖고 있는데 이 값을 적절하게 튜닝하는것은 까다로운 일이 될 것이다.
- 누출 버킷
- FIFO 큐로 구현한다.
- 요청이 도착하면 큐가 가득차 있는지 본다.빈자리가 있는 경우에는 큐에 요청을 추가 한다.
- 큐가 가득차 있는 경우에는 새 요청은 버린다.
- 지정된 시간마다 큐에서 요청을 꺼내어 처리한다.
- 장점
- 큐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메모리 사용량 측면에서 효율적이다.
- 고정된 처리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출력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.
- 단점
- 단시간에 많은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 큐에는 오래된 요청들이 쌓이게 되고 그 요청들을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최신 요청은 버려진다.
- 두개의 인자를 갖고 있는데 튜닝하기가 힘들다
- 고정 윈도우 카운터
- 책 참고
- 이동 윈도우 로그
- 책 참고
- 이동 윈도우 카운터
- 책 참고
개략적인 아키텍처
- 얼마나 많은 요청이 접수 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카운터를 추적 대상 별 ( 사용자 별로 할것인가 IP별로 할것인가 아니면 API 엔드포인트나 서비스 단위로 ? )로 이 카운터의 값이 어떤 한도를 넘어서면 한도를 넘어 도착한 요청은 거부하는 것이다.
- 그렇다면 이 카운터는 어디에 보관할 것인가 ?
-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 접근때문에 느리니까 사용하면 안될것이다.
- 메모리상에 동작하는 캐시가 바람직한데 빠른데다 시간에 기반한 만료 정책을 지원하기 때문이다.
- 일례로 레디스는 처리율 제한 장치를 구현할 때 자주 사용되는 메모리 기반 저장장치로서 INCR과 EXPIRE의 두가지 명령어를 지원한다.
- INCR: 메모리에 저장된 카운터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.
- EXPIRE: 카운터에 타임아웃 값을 설정한다.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카운터는 자동으로 삭제된다.
3단계 상세 설계
- 처리율 제한 규칙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디에 저장되는가 ?
- 처리가 제한된 요청들은 어떻게 처리되는가 ?
처리율 제한 규칙
- 규칙이 설정 파일인 경우는 디스크에 저장된다.
처리율 한도 초과 트래픽의 처리
- 경우에 따라서 제한에 초과된 트래픽을 버리는것만이 아닌 따로 모아놓고 나중에 처리할 수도 있다.
처리율 제한 장치가 사용하는 HTTP 헤더
- HTTP 처리율 장치는 HTTP 응답 헤더를 통해 요청이 처리율 제한에 걸리기까지 얼마나 많은 요청을 보낼수 있는지, 자기 요청이 처리율 제한에 걸리고 있는지를 어떻게 감지하는지 를 알 수 있다.
- X-Ratelimit-Remaining: 윈도 내에 남은 처리 가능 요청의 수
- X-Ratelimit-Limit: 매 윈도마다 클라이언트가 전송할 수 있는 요청의 수
- X-Ratelimit-Retry-After: 한도 제한에 걸리지 않으려면 몇초 뒤에 요청을 다시보내야 하는지 알림
- 사용자가 너무 많은 요청을 보내면 429 too many requests 오류를 X-Ratelimit-Retry-After 헤더와 함꼐 반환하도록 한다.
상세 설계
- 처리율 제한 규칙은 디스크에 보관한다.
- 작업 프로세스는 수시로 규칙을 디스크에서 읽어 캐시에 저장한다.
-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서버에 보내면 요청은 먼저 처리율 제한 미들웨어에 도달한다.
- 처리율 제한 미들웨어는 제한 규칙을 캐시에서 가져온다.
- 아울러 카운터 및 마지막 요청의 타임스탬프를 레디스 캐시에서 가져온다.
- 가져온 값들에 근거하여 미들웨어는 요청을 처리한다.
- 제한에 안걸리면 API 서버로 보낸다.
- 제한에 걸리면 429 에러를 클라이언트에 보내고 요청을 버릴수도 있고
- 요청을 큐에 넣어 보관할수도 있다.
분산 환경에서의 처리율 제한 장치의 구현
- 여러대의 서버와 병렬 스레드를 지원하도록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은 경쟁조건과 동기화의 문제를 풀어내야 한다
경쟁조건
- 레디스에서 카운터의 값을 읽는다.
- count+1의 값이 임계치를 넘는지 본다.
- 넘지 않는다면 레디스에서 보관된 카운터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.
- 병행성이 심한 환경에서는 각각 병렬로 count의 값을 읽어 다른 요청의 처리 상태는 상관하지 않고 count에 1을 더한 값을 레디스에 저장할 것이다.
- 이런 경우 lock을 이용해서 처리하는것이 널리 알려진 해결책이지만 lock은 시스템의 성능을 떨어뜨린다.
- 락 대신 쓸수 있는 해결책 두가지가 있다.
- lua 스크립트
- 정렬 집합
동기화 이슈
- 동기화는 분산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또다른 중요한 요소다.
- 대규모 환경에서는 한대의 처리율 제한 장치로는 서버가 충분하지 않을수 있다.
- 처리율 제한 장치 서버를 여러대 두게되면 동기화가 필요해 진다.
- 이에 대한 해결책중 하나는 스티키 세션을 활용하여 같은 클라이언트로의 요청은 항상 같은 처리율 제한장치로 보낼수 있도록 하는것이다.
- 이 방법은 비추천
- 규모면에서 확장 가능하지도 않고 유연하지도 않다.
- 더 나은 방법은 레디스와 같은 중앙 집중형 데이터 저장소를 사용하는 것이다.
성능 최적화
- 데이터센터에서 멀리 떨어진 사용자를 지원하려다 보면 레이턴시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.
- 사용자의 트래픽을 가까운 에지서버로 전달하여 레이턴시를 줄인다.
- 제한장치간의 데이터를 동기화할 때 최종 일관성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다.
- 6장을 참고
모니터링
처리율 제한 장치를 설치 한 후에 모니터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데이터를 모을 필요가 있다.
- 채택된 처리율 제한 알고리즘이 효과적이다.
- 정의한 처리율 제한 규칙이 효과적이다.
- 위의 두가지를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자.
4단계 마무리
- hard 또는 soft 처리율 제한
- hard 제한: 요청의 개수는 임계치를 절대 넘어설수 없다.
- soft 제한: 요청 개수는 잠시 동안은 임계치를 넘을수 있다.
- 다양한 계층에서의 처리율 제한
- 이번장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처리율만 확인했지만 iptables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계층에서도 처리할 수 있다.
- 처리율 제한을 회피하는 방법
- 클라이언트 측 캐시를 사용하여 API 호출을 줄인다.
- 처리율 제한의 임계치를 이해하고 짧은 시간 동안 너무 많은 메시지를 보내지 않도록 한다.
- 예외나 에러를 처리하는 코드를 도입하여 클라이언트가 예외적 상황으로부터 우아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.
- 재시도 로직을 구현할 때는 충분한 백오프 시간을 둔다.
'book >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장 시스템 설계 면접 공략법 (0) | 2021.08.31 |
---|---|
2장 개략적인 규모 추정 (0) | 2021.08.31 |
1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(0) | 2021.08.29 |
Uploaded by Notion2Tistory v1.1.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