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장.

  1. 객체를 자율화 시켜서 그 객체의 책임이 있는 동작은 객체 스스로 처리하게 하자.
    • 그 객체 로직은 객체 내부에서 동작하자.
    • 그럼 캡슐화가 이루어진다. 외부에서 내부의 동작을 알 필요가 없어짐.
    • 또한 응집도가 높아진다 객체의 책임을 객체가 책임지기 때문에.
    • 결합도가 낮아진다 다른외부에서 이 객체를 가져다 내부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.
  2. 절차지향은 메인클래스에서 모든것을 처리하며 나머지 객체는 단지 데이터보관소에 불과할 뿐이다.
    • 하지만 객체지향은 모든 객체에 자율성이 존재하며 캡슐화가 이루어지며 응집도가 높고 결합도가 낮아진다.
    • 객체지향은 제어의 흐름이 각 객체에 적절하게 분산.
    • 절차지향은 제어의 흐름이 중앙에 한 클래스에 밀집되어있음.
  3. 설계를 어렵게 만드는것은 의존성. 쓸데없는 의존성을 제거해서 객체간의 결합도를 낮추자.
    • 결합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캡슐화를 하고 객체의 응집도도 높이자.
  4. 결합도와 자율성이 충돌되는 시점이 있다.
    • 이때는 트레이드오프로 잘 비교해보고 결정하자.
  5. 객체지향적 설계는 유지보수에 강점을 준다.

'book > 오브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장 - 2. 책임 할당을 위한 GRASP 패턴  (0) 2021.05.09
5장 - 1 책임 할당하기  (0) 2021.05.08
4장 설계 품질과 트레이드오프  (0) 2021.05.05
오브젝트 3장 - 역할, 책임, 협력  (0) 2021.04.30
오브젝트 2장  (0) 2021.04.29

+ Recent posts